안녕하세요, 스타일지기입니다.
4가지 컬러를 주제로 4인의 프로 사진작가가 완성한 사진 전시회 및 토크 콘서트인 <사색의 시간>이 지난 15일부터 21일까지 서울 인사동 아라아트센터에서 진행됐습니다. 이번 사진 전시회 및 토크 콘서트에는 소니 글로벌 이미징 앰버서더(SGIA)로 선정된 김주원, 권오철 작가를 비롯해 최혁수 작가, 정기수 작가까지 총 4명의 소니 알파 프로페셔널 사진 작가가 참여해 Alpha 7R IV와 함께 험난한 세계 오지 4곳을 탐험하며 촬영한 사진을 레드(Red), 그린(Green), 블루(Blue), 블랙(Black) 4가지 컬러로 풀어냈습니다.
최혁수 사진작가
현재 해외 스냅 브랜드 그레이라운지스냅과 아티카스튜디오의 브랜드 대표를 맡고 있다. 상업 스튜디오 디렉터와 각종 화보 촬영 등 다양한 상업 사진을 촬영해왔으며, 최근에는 ‘그레이라운지필름’이라는 유튜버로 활동 중이다. 카메라 장비 리뷰 및 강의 등 이제야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 했다. 또한 유럽 여행을 시작으로 다양한 개인 작품과 여행 사진을 토대로 한 토크쇼나 기업 로드 트립 등 여행 작가로서 활동도 준비 중이다
▼ 최혁수 작가 SNS 바로가기(링크) ▼
RGB의 시작, ‘레드(Red)’는 최혁수 작가와 함께했습니다. 최혁수 작가는 몽골의 붉은 고비 사막을 배경으로 강렬하고 매혹적인 컬러 레드를 표현했는데요. 최근 전세계를 여행하면서 ‘마주하다’라는 콘셉트로 시리즈 형식의 사진 작업을 준비중인 최혁수 작가는<사색의 시간> 전시를 통해 실제로 경험한 사막과 몽골의 풍경, 그리고 사진가로서 그곳에서 마주한 장면을 강렬한 이미지의 작업물로 보여주고자 했다고 합니다.
RGB의 시작, ‘레드(Red)’는 최혁수 작가와 함께했습니다. 최혁수 작가는 몽골의 붉은 고비 사막을 배경으로 강렬하고 매혹적인 컬러 레드를 표현했는데요. 최근 전세계를 여행하면서 ‘마주하다’라는 콘셉트로 시리즈 형식의 사진 작업을 준비중인 최혁수 작가는<사색의 시간> 전시를 통해 실제로 경험한 사막과 몽골의 풍경, 그리고 사진가로서 그곳에서 마주한 장면을 강렬한 이미지의 작업물로 보여주고자 했다고 합니다.
사막을 이루고 있는 모래와 바람, 그리고 일출부터 이어지는 강렬한 빛들이 레드 컬러와 특히나 잘 어울렸다고 하는데요. 레드라는 컬러로 몽골의 분위기와 특색을 표현한 최혁수 작가의 작품을 감상해보세요. 이번 프로젝트의 이야기를 담은 미니 인터뷰도 함께 소개해드립니다.
ⓒ최혁수, A7R IV l SEL1635GM l F2.8 l 1/20s l ISO 1000
ⓒ최혁수, A7R IV l SEL1635GM l F7.1 l 1/60s l ISO 640
ⓒ최혁수, A7R IV l SEL2470GM l F2.8 l 1/30s l ISO 200
ⓒ최혁수, A7R IV l SEL2470GM l F4 l 1/320s l ISO 400
ⓒ최혁수, A7R IV l SEL2470GM l F5.6 l 1/320s l ISO 400
ⓒ최혁수, A7R IV l SEL2470GM l F4 l 1/200s l ISO 400
ⓒ최혁수, A7R IV l SEL2470GM l F5 l 1/1250s l ISO 100
ⓒ최혁수, A7R IV l SEL2470GM l F2.8 l 1/4000s l ISO 100
ⓒ최혁수, A7R IV l SEL100400GM l F5 l 1/800s l ISO 250
ⓒ최혁수, A7R IV l SEL1635GM l F6.3 l 1/640s l ISO 250
ⓒ최혁수, A7R IV l SEL2470GM l F2.8 l 1/5000s l ISO 250
ⓒ최혁수, A7R IV l SEL2470GM l F2.8 l 1/5000s l ISO 250
ⓒ최혁수, A7R IV l SEL2470GM l F5 l 1/500s l ISO 100
ⓒ최혁수, A7R IV l SEL2470GM l F5 l 1/1600s l ISO 200
ⓒ최혁수, A7R IV l SEL35F18F l F1.8 l 1/30s l ISO 1600
ⓒ최혁수, A7R IV l SEL1635GM l F4 l 1/13s l ISO 1000
ⓒ최혁수, A7R IV l SEL1635GM l F2.8 l 15s l ISO 4000
ⓒ최혁수, A7R IV l SEL2470GM l F2.8 l 1/1250s l ISO 160
ⓒ최혁수, A7R IV l SEL2470GM l F2.8 l 1/4000s l ISO 100
ⓒ최혁수, A7R IV l SEL85F14GM l F1.8 l 1/1250s l ISO 200
ⓒ최혁수, A7R IV l SEL100400GM l F5 l 1/800s l ISO 250
ⓒ최혁수, A7R IV l SEL2470GM l F2.8 l 1/5000s l ISO 250
ⓒ최혁수, A7R IV l SEL2470GM l F2.8 l 1/5000s l ISO 250
ⓒ최혁수, A7R IV l SEL2470GM l F2.8 l 1/4000s l ISO 250
ⓒ최혁수, A7R IV l SEL2470GM l F2.8 l 1/4000s l ISO 250
몽골 고비 사막의 아름다움을 레드로 표현한 최혁수 작가의 이번 사진 작업의 소감을 인터뷰로 전해드립니다.
Q. 새로운장비와함께떠난몽골의고비사막촬영은어떤여정이었는지궁금합니다.
이번작업에서는종일차를타고달렸던기억이가장강렬하게남았습니다. 비포장도로에서제온몸이솟구쳤다내려앉는다는느낌을처음으로느껴봤고이는‘고통’ 그자체였습니다. 그끝에만난사막에서는큰달이가장기억에남습니다. 밤이깊어갈수록하늘의달이떠오르는게아니라지평선에닿는다는느낌이들정도로달이정말크게다가왔습니다. 이번여행에서가장큰만족감을준풍경입니다. 그곳에서담소를나누던중에매우큰개를보았는데알고보니개가아니라늑대였더라고요. 몽골에늑대가있다는이야기를듣기는했지만제가눈으로봤던동물이늑대였다는사실을뒤늦게알고나니소름이돋는한편신기한경험이라는생각도들었습니다.
Q. 지금까지진행해온작업과이번작업은어떤부분에서차이가있나요?
제가사진작업을통해선보이는세상은그나라와그곳의풍경에어울리는, 촬영당시마주한느낌을가장잘담아낸이미지입니다. 때문에그나라와그곳의풍경에어울리는느낌을콘셉트로촬영을떠납니다. 그중해외에서모델과작업할때는그나라만이가진분위기와특색을살리려고노력하는편입니다. 특히인물이풍경에녹아드는듯한느낌을주는사진을좋아합니다. 이번촬영에서는그간의작업과일맥상통하면서도몽골이라는배경과사막에어울리는인물사진, 그리고사막의모래가가진텍스처를이미지에표현하고자했습니다. 이번작업물이더욱강렬한느낌을주는이유도촬영과보정에서Red가가진특징과몽골의풍경이가진느낌을살리려고했기때문입니다.
Q. 그동안여러작업을진행해오면서장비의한계때문에촬영이어려웠던적이있나요? 이번작업을위해소니A7R IV를사용하면서촬영상에서어떤변화를느꼈는지궁금합니다.
사실 촬영 장소나 작업에 맞춰 미리 장비를 준비하고 세팅하기 때문에 장비의 한계로 인해 촬영이 어려웠던 적은 없습니다. 또 최신 카메라 대부분이 장점이 넘쳐난다고 봅니다. 소니 미러리스를 사용하면서부터는 패션 위크나 스트리트 사진을 촬영할 때도 AF 대응력이 뛰어나 단점을 꼽기 어려울 정도였어요. 이번에 사용한 A7R IV는 처음에는 고화소라는 점만 부각돼 약간의 거부감이 있었습니다. 사용해보고 나서야 비로소 제 작품 사진을 더욱 더 디테일이 살아있는 고화소 이미지로 촬영 가능하다는 점을 실감했고 광고 촬영 시에도 클라이언트의 만족도가 달라졌습니다.
약 6,100만 화소를 갖췄음에도 테더링을 지원하는 점이나 3세대와 비교해 우수해진 그립감 같이 프로와 취미 사진가 모두를 아우르는 바디의 기본기 자체가 업그레이드됐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또 열악한 환경에서도 단단하고 묵직하게 다가오는 바디 재질과 내구성이 인상적이었습니다.
Q. 이번작업에서는주로어떤렌즈를활용해작업을진행했나요?
밤하늘의 은하수나 게르를 배경으로 한 일출 사진은 FE 16-35mm F2.8 GM으로 담았습니다. 평소 풍경을 촬영할 때 FE 24-70mm F2.8 GM을 주로 활용하는 편인데 몽골의 광활한 초원과 사막, 넓은 여백과 함께 별들의 디테일을 담을 때는 광각줌렌즈가 더 큰 힘을 발휘했습니다. 인물 사진은 조명과 함께 FE 24-70mm F2.8 GM과 FE 85mm F1.4 GM을 주로 활용했습니다. 사막이나 특수 지형에서는 렌즈를 계속 바꿔가며 촬영하기 어려워 FE 24-70mm F2.8 GM으로 여러 화각대를 활용하면서 최대한 안전하고 신속하게 여러 구도 촬영을 마칠 수 있었습니다.
붉은 빛의 사막의 강렬함을 담은 최혁수 작가의 작품, 어떠셨나요?
A7R IV와 함께